밥그릇
입력 : 2012.12.18 21:59
▶어릴 적 동네 뒷산 무덤들 앞에 흰쌀밥 한 그릇이 놓여 있곤 했다. 동그랗게 고봉(高捧)으로 담은 밥그릇이 무덤을 닮았었다. 흉년 들어 굶어 죽은 사람 무덤이었다. 죽어서라도 한번 배불리 먹어보라는 슬픈 풍경이었다. 옛말에 '밥은 백성의 하늘'이라고 했다. '밥이 보약' '밥 한 알이 귀신 열을 쫓는다'고 했다. "밥 먹었느냐" "진지 드셨습니까"가 인사였다.
▶추운 날 언 발을 아랫목 담요에 들이밀면 딸가닥 놋그릇이 넘어지곤 했다. 열린 뚜껑으로 밥이 물기를 흘렸다. 하루 밥벌이 마치고 늦게 오는 아버지 밥상에 따슨 밥 올리려고 담요에 묻어둔 밥그릇이었다. 묵직했던 아버지 밥 주발(周鉢)은 누구도 넘보지 못하는 가장(家長)의 위엄이었다. 남편과 자식에겐 고슬고슬 밥 지어 먹이고 찬밥 먹던 어머니들. 뜸 들이는 밥솥에서 구수하게 새 나오던 밥내는 모성(母性)이었다.

▶어느 도자기업체가 1940년대부터 지금까지 밥공기 용량을 비교했더니 680mL에서 290mL로 작아졌더라고 했다. 건강 챙기고 다이어트 하느라 70년 만에 밥 양이 60% 줄어든 셈이다. 흰쌀밥만 많이 먹으면 혈당이 높아지고 당분이 지방으로 쌓여 복부 비만이 된다. 그래서 거친 현미밥과 잡곡밥 먹는 집이 많다. 30년 전 하숙생들은 "주인아주머니가 밥그릇에 밥알을 세워서 푼다"고 푸념했다. 꾹꾹 눌러 담지 않고 키만 높게 허술한 고봉밥을 낸다는 얘기다. 그 시절엔 어찌 그리도 밥이 빨리 꺼졌는지. 밥그릇이 밥상 구색거리가 돼 간다.
'Re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102 '그들'을 싫어하는 이유 (0) | 2013.01.02 |
---|---|
인간은 꼭 하루 세 끼를 먹어야 할까 (0) | 2012.12.29 |
121127 각곡류목(刻鵠類鶩) (0) | 2012.11.29 |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0) | 2012.11.12 |
120914 오늘을 즐기고 현재에 살아라 (0) | 201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