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길을 즐거워 하라(효의 개념)
130512 조원형목사님
....진리를 사되 팔지는 말며 지혜와 훈계와 명철도 그리할지니라......
(잠언 23:22~26)
테리돕슨이 도쿄에 살면서 합기도에 흥미를 느껴 배우게 된다. 운동 이전의 호신술이다.
무술로서 횡포자를 제압하는 것까지 배운다.
전철을 타고 가는데 취객이 횡포를 부린다. 나에게 오면 그를 제압하리라 생각하는데 할아버지가 먼저 말을 건다. 무슨 술을 마셨나? 정종인데 무슨 상관인가 시비하니 정종이 좋은 술이지. 살기 힘들지. 그럼요. 아내도 잃어버리고 되는건 없고 젊은 취객이 할아버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운다.
사람 사는 방법이 여러 가지이지만 내 방법뿐 아니라 여러 방법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횡포를 그치게 하는 좋은 방법도 있다.
어버이날 지금껏 좋은 방법으로 용돈도 드리고 모시고 즐겁게 해드린다. 신앙인으로서 생각해보자. 손주에게서 여러 사람이 쓴 메모편지를 받았다. 이런 방법도 있구나.
초등학교 선생이 토요일 4교시를 마치고 어버이날을 앞두고 토론회를 열었다.
어떤 것이 효도인가. 어버이날 어버이가 회식하도록 끼어들지 말자. 편히 주무시도록 끼어들지 않는다. 우리에게 신경쓰지 않도록 먼저 잠을 잔다....초등학교 3년생들의 이야기이다.
진정 효도는 무엇인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의 방법이다.
몇 년전의 여론조사이다. 양로원은 영국 25% 찬성, 미국인 24%, 일본 19%, 한국은 0.3%만이 찬성한다. 한국 전통 효의 개념때문이리라.
한국인의 효의 개념은 무엇인가?
먼저, 장수하시게 모신다. 지금은 상을 당하면 신사복을 입는데 도리가 아니다. 베옷입고 죄인임을 표현한다. 옛날 상제가 입던 옷은 걸인처럼 주렁주렁 매달았다. 죄인임을 표현한다. 그러나 지금은 정장을 입고 루즈를 바른다.
그리고 부모님을 편하게 모신다. 옛날 자연에 어울려 살았다. 새들 중에서도 황새처럼 거동이 느린 늙은 새는 젊은 새가 먹이를 물어 섬긴다. 자식을 낳아 가문을 이어가는 것도 효도이다. 가문의 명예를 위해 유명인이 되는 것도 효도이다.
성경 본문은 성경적 유대인의 효도이다.
부모에게 청종하라. 마음을 기울여 말씀을 듣는 것이다.
어미 새가 3마리 새끼 새를 낳아 기른다. 해풍이 불어 안전한 곳으로 옮기려면 바다를 건너야 한다. 첫새끼를 붙잡아들고 날아가며 물어본다. 내가 너를 위하는데 너는 나에게 뭘 해줄 것인가. 첫째와 둘째는 먼저 잘 건넌 다음에야 생각하겠다고 한다. 셋째는 엄마가 나에게 한 것처럼 내 자식에게도 하겠다고 한다.
부모의 전통 신앙 사랑을 자식에게 물려주겠다는 것이 유대인의 효도이다. 부모 존경없이는 청종이 안된다. 연세많은 부모를 병들고 허약할지라도 존경의 대상이지 동정의 대상이 아니다. 불쌍히 여기는 것이 잘못되었다.
전통을 이어주기 위한 유대인의 노력이다.
유명 고등학교에서 오전엔 탈무드만 읽히고 오후에야 학과 공부를 하는데 노벨상 수상자가 그리 많다. 근본 기본 교육이 중요하다.
부모님의말씀은 경험에서 나온 말씀이다. 귀담아 들으면 실패를 줄인다. 유대인에게는 세대차이가 없다. 교육의 문제이다. 우리나라 전통 역사인 국사과목은 선택과목이다.
의인이 되고 지혜로운 자식이 되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빈부가 문제가 아니고 의롭고 지혜롭게 사는 것이 효도이다.
부모를 즐겁게 하는 것이 효도이다. 유대인에게 닭고기는 최고급음식이다. 탈무드에서 어머니에게 닭고기를 매일 대접하는데 이 사람이 지옥에 갔다. 다른 사람이 아버지에게 자기의 양을 산에서 키우게 시켰는데 이 사람은 천당에 갔다. 이 닭고기가 어디서 났느냐 물으니 드시면 되지 웬 참견이냐 하여 섭섭하게 하여 지옥에 갔고 또 한사람은 전쟁에서 싸움이 나서 남자 한명이 전쟁터에 나오라는데 아버지를 안전히 모신 다음 자신이 전쟁터에 나갔다. 이리하여 천당에 갔다.
내 길을 즐거워하라.
아버지 어머니가 섬기던 하나님을 자식이 즐거이 섬기는 것이 효도이다.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이 의회에서 연설할 때 저 사람 아버지가 구두수선공인데 이 나라의 수치다 말하니 맞습니다, 아버지가 그러한 것을 잊을 뻔했습니다. 나도 구두 수선을 배웠습니다. 그러한 과정을 겪으며 자란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당신의 구두가 고장나면 고쳐드리겠다 하니 감동의 박수가 나왔다.
효의 개념을 바로 알자.
'말씀 > 조원형목사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526 이만한 믿음 (0) | 2013.06.18 |
---|---|
130526 본을 보여 양육하라 (0) | 2013.06.15 |
130505 나를 영접하라 (0) | 2013.05.21 |
130428 실족케 하지 말라 (0) | 2013.05.15 |
130421 협동하는 신앙 (0) | 2013.04.26 |